• 기억에 남는 질문

    국회 인턴과 로스쿨 진학, 로스쿨 이후의 진로에 있어서 학벌의 차이가 큰가요?

  • 위 질문에 대한 답변

    학벌과 상관이 있어 보이지만,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절대 아닙니다. 인턴, 로스쿨 입학 및 졸업 이후의 진로 모두 학벌이란 절대적인 기준보다는 자신의 브랜딩, 전문화와 관련되어 있어서 그렇게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 하지만 학벌이 좋을수록 전문성을 갖출 확률이 높을 뿐,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.

  • 기억에 남는 질문

    솔직히 원하는 학점이 이번에는 나오지 않았다. 그래서 지금 로스쿨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는 상황인데, 어떻게 생각하는가?

  • 위 질문에 대한 답변

    성적 때문에 지금까지 원했던 로스쿨을 포기하는 것은 바라지 않는다. 로스쿨을 갈거면 학교를 낮추면 되지 않는가. 굳이 학교를 높게 생각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. 학점을 조금 올려보되, 그렇게 상위권 로스쿨에 얽매이지 않았으면 좋겠다.

  • 기억에 남는 질문

    변호사시험에서 낙방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것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. 만약 로스쿨에 진학해서 시험에 떨어지면 그 이후엔 어떻게 살아야할까요?

  • 위 질문에 대한 답변

    로스쿨은 법학전문"대학원"이기 때문에 법학 석사를 딴다는 의의가 있다. 막연하게 대학원 진학을 생각한다면 로스쿨은 제일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. 3년동안 법학을 배웠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고 증명 가능하기에 어떤 직업으로 나아가는데 확실한 도움이 될 수 있다.

  • 기억에 남는 질문

    AI 등의 인공지능과 Law-Tech 등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최근 법조계가 급변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바 있습니다. 이러한 변화에 대해, 그리고 변화로 인해 앞으로 펼쳐질 법조계의 전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.

  • 위 질문에 대한 답변

    보통 로스쿨을 나왔다고 할 때, 일반적으로는 단순한 판-검-변으로만 나아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는 합니다. 하지만 로스쿨 졸업으로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오히려 이러한 일반적인 길보다 우리 사회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더더욱 무궁무진합니다. 다시 말해, 로스쿨을 졸업함으로써 국회 진출이나 사기업 입사, 혹은 기타 여러 산업 분야로도 넓게 나아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. 그 연장선에서 볼 때 AI 등의 인공지능과 Law-Tech 등의 기술 발전은 오히려 로스쿨 졸업생들에게 새로운 가치 창출을 가능케할 기회의 장이자 새로운 진출 분야라고 할 수 있기에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.